본문 바로가기
알쓸여행사전/세계의 식문화

[중국] 중국의 식문화, 역사와 특징

by TravelDive 2025. 10. 11.

[중국] 중국의 식문화, 역사와 특징

 


중국(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는 베이징이며, 국토 면적은 약 960만㎢로 세계 4위입니다. 14개 나라와 맞닿아 있고, 한족을 포함해 56개 민족이 함께 살아 다양한 식문화가 공존합니다. 남쪽은 덥고 습하며 북쪽은 건조·한랭한 등 기후 차가 커서, 지역마다 재료와 조리법이 크게 달라졌습니다. 북부는 밀·기장 같은 잡곡이, 남부는 벼가 주를 이루어 면·만두 문화(북)밥·죽 문화(남)가 나뉜 것도 이 때문입니다.


1. 역사로 보는 흐름

중국 음식은 "식약동원(食藥同源)"-음식과 약의 근원이 하나-이라는 생각 속에서 자라났습니다.

1) 선진·진(先秦)~한(漢): 곡물 기반과 식약동원의 뿌리

중국 식문화의 기초는 기장·수수·보리·밀·벼 같은 곡물 재배의 확산과 함께 정착했습니다. 청동기와 도기 기술이 발달하며 삶기(煮)·찌기(蒸)·굽기(炙)·절임(醃) 등 기본 조리법이 체계화되었고, 제사·예악과 연동된 의례 음식은 더 정교해졌습니다. 전국~한대에 이르면 칼과 솥의 표준화로 썰기·불조절 같은 조리 기술이 평준화되고, 장(醬)·식초·술(곡주) 같은 발효 조미의 스펙트럼이 넓어집니다. 이 시기 의학·영양 관념이 음식에 스며들며 "식약동원(食藥同源)"의 사상이 뿌리내렸습니다. 북방은 밀·수수, 남방은 벼 중심의 이원적 곡물 지형이 형성되어 이후 지역별 주식 체계(면·병 vs. 반·죽)를 규정했습니다.

2) 위진남북조~수·당: 국제 교류와 미식 미학의 성숙

실크로드와 해상 교역으로 후추·계피·정향 등 향신료, 포도주·유제품·설탕 문화가 귀족층을 통해 유입·확산되었습니다. 당(唐) 왕조에 이르러서는 연회 문화·연희가 성행하며 메뉴 배열, 색·향·미 조화, 다식(茶食) 취향이 세련되어졌습니다. 다만 유제품 소비는 주로 북방·변방 중심의 제한적 범위에 머물렀고, 설탕은 상류층의 과자·당절임·후식에서 존재감을 키웠습니다. "고화력 단시간 조리"는 이 시기부터 조리의 미학으로 자리 잡지만, 대도시 상업의 급성장과 연료 활용의 본격화는 송 왕조에서 급격하게 발전되었습니다.

3) 송(宋): 도시 상업화, 외식의 일상화, 고화력 조리의 대중화

송 왕조에서는 도시 인구 팽창, 야시장·주점·식당의 분업과 전문화, 조리서·식경의 유통으로 "외식의 일상화"가 뚜렷해집니다. 북중국에서는 석탄·목탄 이용과 화덕·중화(中華, 웍) 운용이 체계화되며 강한 화력(旺火)에 의한 단시간 볶음(炒)을 통한 조리방법이 널리 퍼졌습니다. 각 지역의 물류가 운하·해운으로 교차하며 제철 식재의 교환이 활발해졌고, 장·식초·면(麵)·병(餅) 문화가 시민층 취향 속에서 다양화되었습니다. 메뉴의 계절·지역화, 차(茶)·점심 문화의 정착도 이때 뚜렷해졌습니다.

4) 원(元): 초원 식풍과 한식(漢食)의 접합

몽골 제국의 통합으로 인해 육류·유제품 중심의 초원 식문화와 한족·회족(이슬람 문화)·서역 식재·향신료의 교류가 활발해졌습니다. 구이·유제품·가축 내장 활용, 대규모 이동에 적합한 보존·건조·염장 기술도 점점 더 일반화되었습니다. 베이징 일대의 '샤브 양고기(涮羊肉)'는 원나라의 몽골계 식풍 전승이라고 널리 알려졌습니다. 다만, 오늘날 알려진 베이징식 구리냄비·소스 체계는 청나라의 궁정 및 도시 문화에서 정형화, 대중화되었다는 견해가 유력합니다. 면·만두류의 다양화, 대형 연회 조리의 표준화가 이루어진 것도 이 시기입니다.

5) 명(明): 신대륙 작물과 가정 조리의 세분화

대항해·교역의 확대로 고추·옥수수·고구마·감자·땅콩 등 신대륙 작물이 유입되어 농업·식량 구조가 바뀌게 되었습니다. 초기엔 관상·약용·보조식량으로 퍼졌으나, 명나라 말~청나라 초에 이르러 서남(사천·구이저우)·중남(후난) 등 습열지대에서 고추가 향·매운맛·방부 기능을 겸하며 급속하게 식재료로 정착하게 됩니다. 도시 중산층의 확대는 장·기름·전분(녹말) 활용, 썰기 규범, 메뉴 구성의 세분화를 촉진하였고, 지역 상업 요리의 '간판화'가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6) 청(淸): 만한전석과 '팔대 요리권'의 브랜드화

청나라에서는 황실 연회가 극도로 화려해지며 만한전석(滿漢全席, 만주족과 한족의 엄선된 요리로 차린 연회 음식) 같은 궁정 연회가 조리 기술·식재 수급·상차림 미학의 정점을 보여줍니다. 동시에 항운·상업 도시의 성장으로 광둥·쓰촨·산둥·장쑤 등 지역 요리의 대표성이 강해져 훗날 '팔대 요리(八大菜系)'라 불리우게 됩니다. 베이징식 양고기 샤브(훠궈)의 정형화, 허난·산둥 계열 국물·밀식(麵食)의 관부(官府)화, 광둥의 신선 해산물 조리·데미그라스식 소스(굴소스의 전신), 장쑤(회양)식 당조림·농후 국물의 정교화 같은 다양한 음식과 조리 방법이 이 시기의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차·과자·과실 절임, 계절별 연회 메뉴도 청 왕조에서 표준화된 방법으로 널리 퍼지게 되었습니다.

7) 근·현대: 표준화와 세계화, 그리고 지역의 재해석

공업·냉장·유통 혁신은 간장·식초·두반장·굴소스·라오촤오주(노주)·전분 등 기초 조미의 표준화를 이끌었고, 가스·전기 화구를 통해 가정에서도 고화력 단시간 볶음을 재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홍콩·대만·해외 화교 네트워크를 통해 광둥(딤섬·로스트), 쓰촨(마라), 상하이·장쑤(홍샤오·당조림), 북방(면·만두·양고기)의 맛이 세계로 확산되기도 합니다. 개혁개방 이후 광저우·상하이·청두·시안 같은 미식 도시가 로컬·하이엔드·퓨전을 아우르며 재도약했고, 건강·지속가능성 흐름 속에서 저유(低油) 웍 조리, 전기찜(蒸), 발효·절임의 현대적 응용이 활발해졌습니다.


2. 중국 음식의 핵심 특징

① 다양한 재료
바다·강·산·초원에서 나는 식재에서 더 나아가 해산물·야생 식재·가축 모든 부위를 폭넓게 씁니다. 말림·염장·훈연 같은 저장기술이 발달했습니다. 색·향·맛·형(形)의 조화를 중시합니다.

② 손질의 과학
중국 칼질은 기능 중심으로 조리열과 식감을 고려해 자릅니다. 같은 재료도 자르는 법이 바뀌면 익는 속도·양념 흡수·씹는 맛이 달라집니다.

- 片(편): 얇게, 丝(사): 채, 条(조): 굵은 채, 丁(정): 깍둑, 块(괴): 덩어리.

③ 양념의 설계
간장·두반장·춘장·굴소스, 흑초·사천후추·오향 등 복합 양념 배합이 핵심입니다. 파·마늘·생강을 기름에 먼저 볶아 향을 내는('향내기') 과정이 전체 맛을 단단히 묶어 줍니다

④ 불과 시간의 조절
중국 조리는 화력과 타이밍이 승부처입니다. 센 불에 짧게 볶아 재료 본맛을 살리는 볶음(炒), 약불로 오래 맛을 우려내는 조림·뭉근히 삶기(烧·焖·炖)고온·단시간 vs 저온·장시간의 대비를 정교하게 씁니다.

⑤ 기름의 활용

튀김 뿐만 아니라 향내기·유화(油和)·코팅 등 기름은 조미료이자 레시피입니다. 마지막에 참기름·닭기름을 소량 더해 향의 층을 올리는 방식이 흔합니다. 단, 기름은 발연점(연기 나기 시작하는 온도)을 넘기지 않는 게 정확하고 안전합니다.

⑥ 전분으로 맛을 묶기
전분 물(芡·겐)로 기름·수분을 유화해 소스를 윤기 있게 만들고, 열 보존과 목넘김을 높입니다. 한국의 맑은 국과 달리 중국 음식은 소스의 농도가 맛의 일부입니다.

⑦ 조리법의 '믹스 앤 매치'
재료를 데친 후 볶거나, 찐 뒤 튀기는 등 복합 공정을 과감하게 엮습니다. 그래서 같은 재료로도 완전히 다른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3. 지역으로 읽는 맛의 지도(팔대요리)

  • 산둥(魯): 맑고 감칠맛, 탕과 해산물, 불냄새 최소화
  • 쓰촨(川): 마라(麻辣)의 매력. 두반장·산초, 절임·훈연 발달
  • 광둥(粤): 재료 본맛 존중, 딤섬·완탕·로스트 미트, 섬세한 화력
  • 장쑤(蘇): 단맛 기운+감칠, 조림·삶음 정교, 양저우 볶음밥
  • 저장(浙): 담백·신선, 강해산물, 식초 향의 균형
  • 푸젠(閩): 맑은 탕, 건해산물 풍미 추출, 술·사탕수수 향
  • 안후이(徽): 산지 식재·약선풍, 훈연·장시간 조리
  • 후난(湘): 직선적인 매운맛·마늘·훈제, 기름은 비교적 절제

대도시(베이징·상하이·시안)는 전통 위에 근현대 취향이 섞인 퓨전 도시요리가 인기입니다.


중국 음식은 곡물 재배와 의례에서 출발해 실크로드 교류, 도시 상업화, 신대륙 작물 도입을 거치며 '식약동원'이라는 철학 위에 폭넓게 확장됐습니다. 이 흐름 속에서 片·丝·条·丁·块 같은 손질 규범, 炒·蒸·烧/焖/炖·爆의 불·시간 설계, 전분으로 소스를 묶는 기술, 기름을 '조미료'처럼 쓰는 노하우가 체계화되었습니다. 산둥의 맑은 감칠맛, 쓰촨의 마라, 광둥의 재료 존중 등 팔대 요리는 지역 생태와 역사 경험이 만든 맛의 지도입니다. 오늘의 식탁은 공용 집게·분식 서비스와 저유·저염·채식·약선을 더해, "함께 먹되 서로를 배려하고 간단한 도구로 최대의 풍미를 낸다"는 원칙을 현대적으로 이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