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쿠버다이빙 정보3

스쿠버다이빙 장비 가이드: ① 핵심 편 목차1. 장비 선택의 3대 원칙과 4대 보조 요소2. 마스크: "핏이 전부다"3. 스노클: 수면에서 "공기 아끼는 지갑"4. 핀(오리발): 다리 근육을 추진력으로 바꾸는 날개5. 스쿠버 유닛: 레귤레이터(호흡기)·부력 조절 장치(BCD)·실린더(공기통/탱크)·웨이트의 팀플레이5-1) BCD(부력 조절 장치)5-2) 레귤레이터(호흡기)5-3) 실린더(탱크)5-4) 웨이트 시스템6. 노출 슈트(보온)7. 다이브 컴퓨터: 손목 위의 작은 관제탑8. 무엇부터 사는가(현실 로드맵)9. 공통 관리 5단계10. 한 줄 요약 스쿠버 장비는 해마다 성능과 편의성이 좋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기준은 변하지 않습니다.바로 내 다이빙 환경과 목적에 맞는가?(적합성), 내 몸에 잘 맞는가(착용감), 오래 착용해도.. 2025. 9. 8.
스쿠버다이빙 입문 필수: 수압·이퀄라이징·호흡·부력 목차1. 수심과 압력: 10m마다 약 1 bar씩 증가한다2. 압력 ↔ 공기 부피·밀도: 보일의 법칙!3. 압착(squeeze)과 이퀄라이징: "짧게·자주·아주 부드럽게"4. 역압착(reverse block): 올라갈 때도 방심하면 안 된다5. 스쿠버다이빙 최중요 규칙: 상승 중 절대로 숨을 참지 말 것6. 상승 속도와 안전정지7. 공기 소비와 호흡: 느리고 깊게, 리듬 유지8. 부력의 본질과 장비 운용: 웨이트·BCD·호흡의 삼박자1) 웨이트: 최소한으로 정확하게2) BCD: "짧게·자주"가 정답3) 호흡: 미세 조정 레버9. 실전 시나리오: 입수 후, 처음 10분을 이렇게10. 스쿠버·프리 혼합 일정 주의11. 자주 실수하는 포인트들 정리 1. 수심과 압력: 10m마다 약 1 bar씩 증가한다우리는.. 2025. 9. 8.
스쿠버다이빙 입문 총정리 목차1. 스쿠버다이빙이란?2. 스쿠버다이빙 교육 단체3. 자격증, 어디서 어떻게 따나?1) 다이브 센터/강사 선택 팁2) 입과 전 '공통' 조건 (대표 예시 - 교육 단체 및 센터별 상이)3) 교육 흐름(오픈워터 기준)4) 국내 vs 해외에서 따는 법(오픈워터 기준)4. 자격증(인증 레벨) 종류와 단계0) 체험 다이빙(DSD / 업체별 명칭 상이)1) 오픈워터 다이버(OW/Open Water Diver)2) 어드밴스드 오픈워터 다이버(AD/AOW/Advanced Open Water Diver)3) 스페셜티(특수과정)4) 레스큐 다이버(Rescue Diver) + 응급처치(EFR 등)5) 프로 레벨(참고) 테크니컬 다이빙5. 단체가 달라도 크로스(교차) 진행 가능!6. 한국 바다(제주/동해/남해)에서 알아.. 2025.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