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이빙 포인트

[제주도 서귀포] 범섬, 섶섬, 기타 다이빙 포인트

by TravelDive 2025. 8. 26.

[제주도 서귀포] 범섬, 섶섬, 기타 다이빙 포인트

 

 


✅ 범섬(Beomseom) 개요

  • 위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서쪽 해상, 서귀포항에서 5km 거리, 무인도
  • 이름의 유래: 멀리서 보면 호랑이가 웅크린 모습이라 '범섬(虎島)'이라 불림
  • 접근 방법: 보트 다이빙 필수 (서귀포항에서 보트 탑승, 약 5~10분 소요)
  • 포인트 성격: 해식동굴과 직벽 지형 발달
  • 수온 범위: 여름철 22~26℃ / 겨울철 14~17℃ (7월~9월이 다이빙하기 좋은 수온!)
  • 시야: 평균 10~20m (날씨·조류 영향 받음)
  • 해식동굴과 직벽 지형으로 지형 다이빙과 사진 촬영에 최적
  • [참고] 다이브샵마다 포인트를 일컫는 명칭과 세부 위치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범섬 주요 다이빙 포인트

  • 콧구멍(Kot-kumeong)
    • 수심: 10m~25m
    • 난이도: 초~중급(스윔스루 구간 주의)
    • 특징/어원: 절벽의 콧구멍처럼 보이는 해식동굴 형상에서 유래
    • 생물: 큰 수지맨드라미
  • 새끼섬 직벽 & 서쪽 동굴군
    • 수심: 15~30m
    • 난이도: 중급(조류·파랑 시 위험)
    • 특징: 직벽·해식동굴·감태/자갈 혼재의 지형감
    • 비고: '작은/큰 항문' 등의 동굴은 반수면 및 짧은 성격의 동굴
  • 이 외에도 작은 항문, 기차 바위 등의 포인트가 있어요!

범섬 - 새끼섬의 거북이범섬 - 산호정원
(좌) 범섬 - 새끼섬의 거북이 / (우) 범섬 - 산호정원

흔하진 않지만, 제주도에서도 다이빙 중에 거북이를 만날 수 있어요!

 

 


✅ 섶섬(Seopseom) 개요

  • 위치: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동쪽 해상, 서귀포항에서 약 4km 거리
  • 이름의 유래: 상록수림이 울창해 '숲섬'이라 불리다 '섶섬'으로 불리움
  • 접근 방법: 보트 다이빙 필수 (서귀포항에서 보트 탑승, 약 5~10분 소요)
  • 포인트 성격: 난대 식물과 산호, 어종이 풍부
  • 수온 범위: 여름철 22~26℃ / 겨울철 14~17℃ (7월~9월이 다이빙하기 좋은 수온!)
  • 시야: 평균 10~20m (날씨·조류 영향 받음)
  • 이름 유래: 숲이 많은 섬 → '숲섬' → '섶섬'
  • 숲섬이라 불릴 만큼 자연이 풍부하며 잔잔한 포인트와 직벽 다이빙 모두 가능
  • [참고] 다이브샵마다 포인트를 일컫는 명칭과 세부 위치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섶섬 주요 다이빙 포인트

 

  • 작은 한개창(Small Hangaechang)
    • 수심: 15m 전후(월/슬로프)
    • 난이도: 초급 친화
    • 특징: 연산호/경산호 감상·입문자 포인트로 많이 쓰임
  • 큰 한개창(Big Hangaechang)
    • 수심: 6m(입수) ~ 35m
    • 난이도: 초~중급(코스 선택 폭 넓음)
    • 특징: 대형 수지맨드라미·해송·회초리산호 등
  • 동남(자리여) 라인
    • 수심: 4m(봉우리)~30m(바닥) 직벽 전개
    • 난이도: 중급(직벽·조류)
    • 특징: 병풍 같은 직벽·해송·말미잘 군락

 

 


🤿 기타(연안/외곽) 주요 다이빙 포인트

  • 가린여(Garin-yeo)
    • 위치: 삼매봉~법환리 사이 암초
    • 수심: 18~30 m
    • 난이도: 중–상급(깊이/조류/포토 다이버 인기)
    • 특징: 수중 직벽 + 모래 경계, 대형 수지맨드라미·해송, 쏠배감펭 무리 보고 잦음
  • 서귀포항 동부 방파제(East Breakwater)
    • 수심: 5~7m(구간에 따라 5~15 m까지 있음)
    • 난이도: 입문~초급
    • 특징: 계단·핸드레일·로프 등 설치로 교육/체험·야간 다이빙에 적합(비치 다이빙으로 진행)
    • 자주 보는 생물: 감태 군락 주변 소형어류·무척추류 관찰 용이
  • 검은여동굴(칼동굴)
    • 수심: 입구 ~8 m 수직 하강 → 내부 수평 통과 ~20 m
    • 난이도: 상급(오버헤드)
    • 특징: KAL호텔 앞 해역의 양쪽이 트인 해식/용암 동굴 지형. 써지·조류 시 접근 제한
    • 이름 유래: 인근 지형(검은여)·호텔 명칭에서 파생된 통칭
  • 서건도 동굴 포인트(Seogeondo cave)
    • 위치: 강정 포구 인근
    • 폭/길이: 폭 3~8m, 길이 10~50m+의 동굴
    • 수심: ~15 m
    • 난이도: 중상급(오버헤드)
    • 특징: 강정 앞바다의 해식·용암동굴대. 출수 경로·물때 확인 필수.
  • 연세미여(=연새미여, Yeonsemi-yeo)
    • 이름 유래: 현지 암초 지명
    • 위치: 강정 포구 인근
    • 수심: 9–16 m
    • 난이도: 중급(물때 택일)
    • 특징: 여(암초) 능선을 타는 드리프트/지형 감상 포인트. 사리/조류 세기 따라 입출수 창구 달라짐.
  • 외돌개 수중동굴(Oedolgae Sea-cave)
    • 이름 유래(외돌개): ‘바다 한가운데 외로이 선 바위’라는 뜻의 지명.
    • 위치: 삼매봉 인근
    • 수심: 8~15m
    • 난이도: 상급(오버헤드)
    • 특징: 2020년 새 수중동굴 발견 보도 이후 알려짐. 동굴 안 에어포켓이 있어 독특한 경험. 정어리 떼 자주 출현

 


☝️ 제주도 서귀포 다이빙의 특징!

  • 자체 다이빙보트 대신 낚시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요!
    • 다른 샵들과 함께 시간을 맞춰 같은 포인트로 갔다가 같이 돌아와요.
    • 매 다이빙마다 육지와 포인트를 왔다갔다해요.
    • 육지에서 장비를 착용한 채로 보트에 탑승해요.
  • 비치 다이빙, 보트 다이빙이 아닌 '섬 다이빙'이 있어요.
    • 육지와 포인트를 왔다갔다하는 것이 아니라 섬으로 한 번에 공기통들을 옮긴 후에 다이빙을 진행하는 방식이에요.
    • 참고로 섬들은 무인도이며 해변이나 다른 시설은 없어요.
  • 기본 2회 다이빙을 진행하지만 4회까지 다이빙을 진행할 수도 있어요. (오전 2회, 오후 2회 / 나이트다이빙 제외)
  • 11월 ~ 3월에는 드라이슈트를 추천해요! (웻슈트로도 사계절 가능하다고 말하지만, 엄청 추워요.)
  • 육지 - 포인트 간 거리는 짧지만, 파도 등의 이유로 멀미를 하시는 분이라면 멀미약을 먹는 것을 추천해요.
  • 한국의 의약품 판매 금지 규정으로 인해 다이빙 샵에서는 멀미약을 제공하거나 판매할 수 없으니, 직접 준비해가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 다이빙을 하는 도중, 운이 좋다면 관광 유람선을 만날 수도 있어요!